#transactional

트랜잭션 내에 외부 리소스 요청이 담기게 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

트랜잭션 내에 외부 리소스 요청이 담기게 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커넥션이 필요하다. 하지만 커넥션 생성을 위해서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커넥션을 미리 생성한 뒤 커넥션 풀을 통해 관리한다.

커넥션 풀의 개수는 제한되어 있다. 만약 동시에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이 담긴 요청을 커넥션 풀의 개수 이상으로 받았다고 가정하자. 커넥션을 획득하지 못한 요청은 다른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이 반납될 때까지 기다리게 될 것이다. 결국 이러한 상황이 길어지면 병목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불필요한 로직이 섞인 트랜잭션

먼저 간단한 예시를 위해 아래와 같은 요구사항을 줬다고 가정한다.

  • 회원가입을 진행한다.
  • 회원가입은 외부 OAuth를 통해 진행된다.
  • 우리는 전달받은 인가 코드를 기반으로 회원 정보를 조회한 뒤 회원가입을 진행한다.
  •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NEWBIE라는 칭호를 획득할 수 있다. (회원은 여러 개의 칭호를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한다. 회원 : 칭호 = 1 : N)
  •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가입한 email을 통해 가입 완료 메일을 전송한다.

위 과정을 코드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NEWBIE = "뉴비";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ONGRATULATIONS_MESSAGE = "가입을 축하드립니다!";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HonorRepository honorRepository;
    private final OAuthClient oAuthClient;
    private final EmailSender emailSender;

    @Transactional
    public Member register(final String code) {
        Member member = oAuthClient.getMember(code); // 1

        Member savedMember = memberRepository.save(member); // 2
        honorRepository.save(new Honor(savedMember, NEWBIE)); // 3

        emailSender.send(savedMember.getEmail(), CONGRATULATIONS_MESSAGE); // 4

        return savedMember;
    }
}
  • 1: 외부 서비스에서 인가 코드를 전달하여 회원 정보를 조회한다.
  • 2: 조회한 회원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한다.
  • 3: 가입과 동시에 NEWBIE 칭호를 획득한다.
  • 4: 가입 축하 메일을 전송한다.

이 모든 과정은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이기 때문에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여 진행된다.

위 로직 중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은 어디일까? 바로 2, 3이다. MemberRepositoryHonorRepositorymemberhonor를 적절히 영속시키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활용한다. 외부 서비스를 통해 회원 정보를 조회하는 1과 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4는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처리가 아니므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트랜잭션이라 보기 어렵다.

또한 외부 서비스는 우리가 제어할 수 없는 영역에 가깝다. 데이터베이스의 커넥션과 요청 처리를 위한 스레드는 외부 서비스에서 적절한 응답이 올 때까지 계속 대기해야 한다. 특히 데이터베이스의 커넥션은 한정된 개수를 가지고 있다. 대기 시간이 길어질수록 병목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위 코드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실질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이 필요한 부분은 파란 화살표지만,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까지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 리소스 요청 로직 분리하기

트랜잭션은 필요한 부분에 최소한으로 적용되어야 하므로, 제어할 수 없는 외부 요청 로직을 분리해야 한다. 먼저 작성된 코드에서 트랜잭션이 필요한 로직만 남겨둔다.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NEWBIE = "뉴비";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ONGRATULATIONS_MESSAGE = "가입을 축하드립니다!";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HonorRepository honor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Member save(final Member member) {
        Member savedMember = memberRepository.save(member);
        honorRepository.save(new Honor(savedMember, NEWBIE));
        return savedMember;
    }
}

트랜잭션이 불필요한 로직을 상위 클래스로 분리하여 작성한다.

@RequiredArgsConstructor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Register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ONGRATULATIONS_MESSAGE = "가입을 축하드립니다!";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private final OAuthClient oAuthClient;
    private final EmailSender emailSender;

    public Member register(final String code) {
        Member member = oAuthClient.getMember(code);
        Member savedMember = memberService.save(member);
        emailSender.send(savedMember.getEmail(), CONGRATULATIONS_MESSAGE);
        return savedMember;
    }
}

기존에 memberService를 호출하던 부분을 memberRegister를 의존하도록 변경한다.

@RequiredArgsConstructor
@RequestMapping("/members")
@Rest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rRegister memberRegister;

    @PostMapping
    public ResponseEntity<MemberResponse> register(@RequestBody MemberRegisterRequest request) {
        Member savedMember = memberRegister.register(request.getCode());
        MemberResponse response = new MemberResponse(savedMember);
        return ResponseEntity.ok(response);
    }
}

위 로직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불필요하게 낭비되던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유지 시간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리

지금까지 트랜잭션 내의 외부 리소스 요청에 대한 로직을 분리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제어할 수 없는 영역인 외부 리소스에 대한 요청을 트랜잭션에서 분리하지 않으면 응답이 올 때까지 요청 스레드가 대기하게 된다. 이때 요청에 데이터베이스 로직이 포함되면 커넥션도 함께 대기하게 된다. 한정된 개수를 가진 커넥션을 빠르게 반납하지 않으면 병목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트랜잭션이 활성화된 범위를 최소화해야한다. 이러한 개선 작업을 통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서버 자원을 적절히 아낄 수 있다.

Referer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