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

ResponseEntity - Spring Boot에서 Response를 만들자

ResponseEntity - Spring Boot에서 Response를 만들자

웹 서비스에서는 많은 정보를 송수신하게 됩니다. 각각의 다른 웹 서비스들이 대화하려면, 서로 정해진 약속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해서 보내야합니다. 보내는 요청 및 데이터의 형식을 우리는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 이라고 합니다. Spring 에서도 마찬가지로 HTTP 에 맞게 데이터를 송수신해야합니다. 요청에 대한 응답을 HTTP 형식으로 코드로 직접 작성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를 만들어주는 ResponseEntity 를 통해서, 빠르게 쉽게 규격에 맞는 HTTP 응답을 생성해봅시다.

Spring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우아한테크코스에서 Java 의 웹 프레임 워크인 SparkSpring 을 통해서 웹 서비스를 처음으로 작동시켰을 때에는 이때까지와는 다른 고민을 만났습니다. 로직 구현과 별개로, 사용자에게 어떻게 정보를 전달해야할지에 대한 고민이었습니다. 페이지를 전달할 때에는 Template Engine 의 포멧에 맞게 전달하면 렌더링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페이지가 아닌 데이터를 전달을 해주어야 할 때에는 다른 포맷으로 전달을 해주어야했습니다.
Template Engine 을 사용할 때처럼 눈에 보이는 포멧이 없었기 때문에 어떻게 정보를 전달해야할지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하게 데이터만 클라이언트에 보내기에는 서버에 전달해줄 데이터 뿐만이 아니라 상태 및 정보들이 많았습니다. 서버의 응답을 어떻게 종합적으로 보내면 될지에 대해서 고민을 하다가, HTTP 에 대해서 다시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HTTP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의 약자로, ClientServer 사이에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기 위한 규약입니다. 해당 규약을 지키게 된다면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어떤 요청을 하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 수가 있습니다. HTTP 는 요청과 응답 모두 크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먼저, HTTP 요청은 크게 세 가지 요소로 구성이 됩니다.
Start Line, Headers 그리고 Body 입니다.

  1. Start Linemethod, URL, 그리고 version 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서버에서 요청을 받아들이는 첫 줄입니다.
  2. Headers 는 요청에 대한 접속 운영체제, 브라우저, 인증 정보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3. Body 는 요청에 관련된 json, html 과 같은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합니다.

HTTP 응답은 다른 요소인 Status Line 과 요청도 가지고 있는 Headers, Body 으로 구성됩니다.

  • Status LineHTTP 버전과 함께 헤딩 요청에 대한 처리의 상태를 나타납니다. 200 , 404 와 같은 숫자 코드로 동시에 나타냅니다.

Spring 에서는 HTTP Response 를 만드는 것이 주요한 관심사입니다. 200, 404 등 각각의 응답의 상태 코드뿐만이 아니라, Body 에 들어갈 내용도 넣어주어야 합니다. 세 가지 요소를 채운 객체를 만드는 것은 까다로울 것입니다. 데이터를 받아서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것이 바로 @ResponseBodyResponseEntity 입니다.

@ResponseBody

@ResponseBodyHTTP 규격에 맞는 응답을 만들어주기 위한 Annotation 입니다. HTTP 요청을 객체로 변환하거나, 객체를 응답으로 변환하는 HttpMessageConverter 를 사용합니다. HTTPMessageConverter 는 해당 Annotation 이 붙은 대상을 response body 에 직렬화를 하는 방식으로 작동됩니다. 따라서 Controller 에서 반환할 객체나 Method@ResponseBody 를 붙히는 것만으로 HTTP 규격에 맞는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Status;

@ResponseBody
@ResponseStatus(HttpStatus.OK)
public MoveResponseDto move(@PathVariable String name, @RequestBody MoveDto moveDto) {
  String command = makeMoveCmd(moveDto.getSource(), moveDto.getTarget());
    springChessService.move(name, command, new Commands(command));
    
  MoveResponseDto moveResponseDto = new MoveResponseDto(springChessService
      .continuedGameInfo(name), name);
      
  return moveResponseDto;
}

Annotation 을 추가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처리를 할 수 있다는 점이 @ResponseBody 의 장점입니다. 또한, 만약 해당 메서드를 가진 Controller@RestController 가 붙으면 @ResponseBody 를 생략하여 더 간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미 해당 Annotation 에 명시가 되어있 때문에 생략해도 됩니다.

//ResponseBody 구현 부분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Controller
@ResponseBody //@ResponseBody 명시
public @interface RestController {
	@AliasFor(annotation = Controller.class)
	String value() default "";
}

하지만 단점으로는 HTTP 규격 구성 요소 중 하나인 Header 에 대해서 유연하게 설정을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또한 Status 도 메서드 밖에서 Annotation 을 사용하여 따로 설정을 해주어야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는 @ResponseBody 만 사용시에 별도의 뷰를 제공하지 않고, 데이터만 전송하는 형식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점들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이 ResponseEntity 라는 객체입니다.

ResponseEntity

ResponseEntity 도 마찬가지로 HTTP 응답을 빠르게 만들어주기 위한 객체입니다. @ResponseBody 와 달리 Annotation 이 아닌 객체로 사용이 됩니다. 즉, 응답으로 변환될 정보를 모두 담은 요소들을 객체로 만들어서 반환해줍니다. 객체의 구성요소에서 HttpMessageConverter 는 응답이 되는 본문을 처리해준 뒤에, RESTTemplate 에 나머지 구성 요소인 Status 를 넘겨주게 됩니다. 이를 통하여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가 있는데, 선언된 구조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esponseEntity 선언 구조
public class ResponseEntity extends HttpEntity {

  private final Object status;
}

먼저, ResponseEntity 의 구조를 보게 되면, 다음과 같이 Status 만 필드 값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ResponseEntity 에서 직접적으로 Status Code 를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머지 부분은 HttpEntity 에 구현이 되어있는데, 이는 RequestEntity 와 여러 설정들을 공유하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HttpEntity 의 구현 부분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Entity 선언 구조
public class HttpEntity<T> {
    public static final HttpEntity<?> EMPTY = new HttpEntity<>();
  
  
    private final HttpHeaders headers;
  
    @Nullable
    private final T body;
}

이와 같이 ResponseEntityHttpEntity 를 상속하여 구현이 됩니다. HttpEntity 에서는 Generic 타입으로 Body 가 될 필드 값을 가질 수가 있습니다. Generic 타입으로 인하여 바깥에서 Wrapping 될 타입을 지정할 수가 있습니다. Wrapping 된 객체들은 자동으로 HTTP 규격에서 Body 에 들어갈 수 있도록 변환이 됩니다. 또한, 필드 타입으로 HttpHeaders 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ResponseBody 와 다르게 객체 안에서 Header 를 설정해 줄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Constructor 를 활용하여 ResponseEntity 를 사용한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ResponseEntity<MoveResponseDto> move(@PathVariable String name,
    @RequestBody MoveDto moveDto) {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headers.set("Game", "Chess");
    
    String command = makeMoveCmd(moveDto.getSource(), moveDto.getTarget());
    springChessService.move(name, command, new Commands(command));
    
    MoveResponseDto moveResponseDto = new MoveResponseDto(springChessService
        .continuedGameInfo(name), name);

    return new ResponseEntity<MoveResponseDto>(moveResponseDto, headers, HttpStatus.valueOf(200)); // ResponseEntity를 활용한 응답 생성
}

Spring 에서 다음과 같이 HTTP 응답으로 반환할 메서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 때, 타입은 ResponseEntity<반환할 타입> 으로 지정합니다. Constructor 를 사용시에 Body 부분, Header 그리고 상태로 지정될 Status 를 차례로 입력하여 생성하시면 됩니다. 예시 코드에서는 moveResponseDto라는 객체가 Body 부분에 들어가서 응답으로 전송이 됩니다. 우리는 HTTP 응답에 필요한 요소들 중 대표적인 Status, Header , Body 를 지정하여 응답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Constructor보다는 Builder

이렇게 ResponseEntity 를 사용할 때, Constructor 를 사용하기보다는 Builder 를 활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숫자로 된 상태 코드를 넣을 때, 잘못된 숫자를 넣을 수 있는 실수 때문입니다. 따라서, Builder Pattern 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이 코드를 변경할 수가 있습니다.

  return new ResponseEntity<MoveResponseDto>(moveResponseDto, headers, HttpStatus.valueOf(200));

  return ResponseEntity.ok()
        .headers(headers)
        .body(moveResponseDto);

이렇게 Builder Pattern 을 활용하면 각 상태에 매칭되는 숫자 코드를 외울 필요 없이 Builder 메소드를 선택하면 됩니다.

마치며

Spring 또한 HTTP 에 맞는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을 해주어야 합니다. Header 설정에서의 유연성을 가진 ResponseEntity 를 사용하여, 빠르면서도 실수를 줄이는 HTTP 응답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