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ception,  #custom-exception

custom exception을 언제 써야 할까?

custom exception을 언제 써야 할까?

우아한테크코스의 두 크루인 오렌지와 우가 싸우고 있다. 왜 싸우고 있는지 알아보러 가볼까?

오렌지 : 아니 굳이 사용자 정의 예외 안 써도 됩니다!!

우 : 아닙니다!! 써야 합니다!!!

사용자 정의 예외(Custom Exception) 에 대한 둘의 의견이 좁혀지지 않는다. 각자의 주장을 더 자세히 들어보자!

표준 예외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자!

1. 예외 메시지로도 충분히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커스텀 예외의 장점으로 예외클래스의 이름만으로 어떤 예외인지 알아보기 쉽다는 점을 꼽는다.

public class UserNameEmptyException extends RuntimeException {
    public UserNameEmptyException(String message) {
    ...
    }
}

위 커스텀 예외의 이름만 봐도 사용자 이름의 입력값이 비어있는 경우 발생하는 예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단지 그 하나의 이유를 위해서 커스텀 예외를 만드는 것은 지나친 구현이다. 유효하지 않은 입력(인자)값에 대한 예외이므로, 자바에서 정의해 놓은 IllegalArgumentException을 사용하고 메시지만 예외사항에 맞게 재정의해준다면 충분히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은 위 코드에 대한 피드백 중 일부이다. 피드백 링크

2020 08 17 custom exception review

2. 표준 예외를 사용하면 가독성이 높아진다.

인수로 부적절한 값이 들어올 때 던지는 예외인 IllegalArgumentException, 일을 수행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의 객체인 경우 던지는 예외인 IllegalStateException, 요청받은 작업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던지는 예외인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등, 우리는 이미 익숙하고, 쓰임에 대해 잘 알고있는 예외들이 많다.

이런 예외들이 아닌 처음 보는 예외들은 당연히 구체적인 쓰임을 잘 모른다. 이런 이유로 낯선 예외보다는 익숙한 예외를 마주치는 것이 당연히 가독성이 높을 수 밖에 없다.

또한, 낯선 예외를 만났을 땐, 당연하게도 그 커스텀 익셉션을 파악하는 작업이 따라온다. 이 또한 비용이 될 수 있다.

표준 예외에 대한 쓰임은 공식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3. 일일히 예외 클래스를 만들다보면 지나치게 커스텀 예외가 많아질 수 있다.

example

위 사진처럼 domain 디렉토리 내에는 다양한 디렉토리들이 있고, 그 디렉토리 내에는 exception 디렉토리가 있다. 그리고, 수많은 custom Exception들이 있다. 예외 클래스들을 하나하나 만들다보면 지나치게 많아질 수 있다. 이 디렉토리와 클래스를 관리하는 것 역시 일이다. 지나치게 많아진다면 메모리 문제도 발생할 수 있고, 클래스 로딩에도 시간이 더 소요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자바에서는 충분히 많은 표준 예외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표준 예외를 재사용한다면 이를 막을 수 있다.

2020 08 17 custom exception counter
(잠깐!)

사용자 정의 예외가 필요하다!

오렌지의 말이 맞다. 자바에서는 기본적으로 충분한 예외들을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의 예외는 IllegalArgumentException이나 IllegalStateException으로 해결 가능할지도 모른다. 새로운 예외를 만드는 행위는 어쩌면 시간 낭비일 수도 있다.

이야기를 끝내기 전에 잠깐 우리가 자주 쓰는 Spring을 보자. @Valid 어노테이션은 예외 상황에서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을 발생시킨다. 해당 예외의 패키지 구조는 org.springframework.web.bind.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Spring에서 만든 사용자 정의 예외다.

github에서 38.8k의 스타를 가진 spring이다. 그들이 옳다면 어느 정도 귀를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고 무작정 적용할 수는 없는 법. 사용자 정의 예외를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알아보자.

1. 이름으로도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NoSuchElementException만으로는 어떤 요소가 없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PostNotFoundException이 발생했다면, Post를 찾는 요청을 보냈지만 해당 요소가 없다는 상황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Custom Exception은 이름을 통해 일차적으로 예외 발생 상황에 대해 유추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오렌지의 말처럼 메시지로도 충분한 전달이 가능하다.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2. 상세한 예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컬렉션의 범위를 벗어난 index 접근 요청이 생겼다고 해보자.

기존의 예외에선 IllegalArgumentException이나 IndexOutOfBoundsException을 후보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예외 메시지로는 "범위를 벗어났습니다." 정도면 적당하다.

if (index >= arr.length) {
  throw new IndexOutOfBoundsException("범위를 벗어났습니다.");
}

하지만 전체 범위가 얼마인지, 요청한 index가 몇인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머가 직접 디버깅하거나 정보를 담은 메시지를 만들어줘야 한다. 디버그를 통해 직접 정보를 찾아내는 행위는 썩 좋은 일이 아니다. 개발 과정에 피로함만 늘어간다. 메시지는? 단 한 곳에서만 발생하는 예외라면 아주 훌륭하다. 하지만 같은 예외가 발생하는 곳이 많아진다면? 나중에 리팩토링하기 힘들어질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자 정의 예외는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public class IllegalIndexException extends IndexOutOfBoundsException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message = "범위를 벗어났습니다.";

	public IllegalIndexException(List<?> target, int index) {
		super(message + " size: "  + target.size() + " index: " + index);
	}
}

이제 우리는 요청 받은 컬렉션의 최대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요청한 index는 몇인지 바로 알 수 있다. try/catch를 통해 발생한 예외를 붙잡아 새로 만든 예외를 던져도 되고, 기존 예외가 발생하기 전에 index를 검사해 새로 만든 예외를 직접 발생시켜도 괜찮다.

전달하는 정보의 수정이 필요할 때는 IllegalIndexException 클래스를 수정하면 된다. 같은 예외를 발생시키는 모든 상황에 적용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정의 예외의 장점이 한 가지 더 보인다.

3. 예외에 대한 응집도가 향상된다.

클래스를 만드는 행위는 관련 정보를 해당 클래스에서 최대한 관리하겠다는 이야기다.

표준예외와 메시지로도 충분히 정보를 전달할 수 있지만, 전달하는 정보의 양이 많아질수록 예외 발생 코드가 더러워진다. 거기에 같은 예외를 발생하는 장소가 많아지면? 코드는 더 끔찍해질 것이다. 함수로 분리한다 하더라도, 서로 다른 클래스에서 같은 예외가 발생한다면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진다.

사실 정적 메소드를 담은 유틸성 클래스로도 충분히 표준 예외를 사용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정도 노력이라면 예외 하나쯤은 만들어줄 수 있지 않을까?

사용자 정의 예외를 사용한다면 예외에 필요한 메시지, 전달할 정보의 데이터, 데이터 가공 메소드들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우리에게 객체의 책임이 분리된 깔끔한 코드를 안겨줄 것이다.

같은 예외가 여러 곳에서 사용될수록 이 장점은 더 극대화될 것이다.

4. 예외 발생 후처리가 용이하다.

Spring에서는 ControllerAdvice를 통해서 전역적인 예외 처리가 가능하다. 방법이 궁금하다면?

예외는 상속 관계에 있기 때문에, Exception이나 RuntimeException을 잡아두면 프로그램 내에서 발생하는 거의 모든 예외에 대해 처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프로그래머가 의도하지 않은 예외까지 모두 잡아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재사용성이 높은 것은 표준 예외들의 장점이다. 하지만 그 장점 때문에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다는 단점도 생긴다.

// in GlobalExceptionHandler.java
@RestControllerAdvice
public class GlobalExceptionHandler {
    @ExceptionHandler(IllegalArgumentException.class)
    public ResponseEntity<ErrorResponse> handleIllegalArgumentException(final IllegalArgumentException error) {
        // ...
    }
    // ...
}
// in SomeController.java
@Controller
public class SomeController {
    // ...
    @PostMapping("/some")
    public ResponseEntity<Void> Some(@RequestBody SomeRequest request) {
        Something something = someService.someMethod(request);
        if (somevalidate(something))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SomeExternalLibrary.doSomething(something);

        return ResponseEntity.ok().build();
    }
    // ...
}

이런 상황이라고 가정해보자.

IllegalArgumentException이 발생하고 잡아냈다면 정말 some()안에서 발생했다고 장담할 수 있을까?
SomeExternalLibrary라는 외부 라이브러리에서 발생시켰을지도 모르고, 프레임워크 자체에서 발생시켰을지도 모른다.
Adivce에서 일괄적인 처리를 하고 싶어도 발생 장소에 따라 처리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정의 예외를 사용하면 이런 혼란스러움을 줄일 수 있다.

ExpectedException을 구현한 뒤, 모든 사용자 정의 예외가 해당 예외를 상속받도록 하자. Advice에서는 ExpectedException을 처리하는 메소드 하나로 예외 처리 코드를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API 작성 시 예측 가능한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발생시킨 예외와 그렇지 않은 예외를 구분할 수도 있게 된다.

예외에 대한 후처리는 각각의 사용자 정의 예외 내부에서 처리한 뒤 일관성있게 error.getMessage()등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 in GlobalExceptionHandler.java
@RestControllerAdvice
public class GlobalExceptionHandler {
    @ExceptionHandler(RuntimeException.class)
    public ResponseEntity<ErrorResponse> handleUnExpectedException(final RuntimeException error) {
        // ...
    }

    @ExceptionHandler(ExpectedException.class)
    public ResponseEntity<ErrorResponse> handleExpectedException(final ExpectedException error) {
        // ...
    }
    // ...
}

5. 예외 생성 비용을 절감한다.

자바에서 예외를 생성하는 행위는 생각보다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바로 stack trace 때문이다.

2020 08 17 custom exception stacktrace
(Stack Trace 예시,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data.sql에 이상한 구문을 넣었다.)


stack trace는 예외 발생 시 call stack에 있는 메소드 리스트를 저장한다. 이를 통해 예외가 발생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try/catchAdvice를 통해 예외를 처리한다면 해당 예외의 stack trace는 사용하지 않을 때가 많다. 비용을 들여 만들었지만 사용하지 않고 사라지는 형태. 너무나도 비효율적이다.

stack trace의 생성은 예외의 부모 클래스 중 ThrowablefillInStackTrace()메소드를 통해 이루어진다. 사용자 정의 예외는 해당 메소드를 Override 함으로 stack trace의 생성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필요하다면 짧게 일부만을 생성할 수도, 아예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Override
public synchronized Throwable fillInStackTrace() {
	  return this;
}

만일 구현해낸 Custom Exception이 stack trace도 갖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정보를 다르게 주는 예외가 아니라 단순하게 메세지만 넘겨준다면 해당 예외를 캐싱해두는 것도 비용 절감의 방법이다.

public class CustomException extends RuntimeException {
	  public static final CustomException CUSTOM_EXCEPTION = new CustomException("대충 예외라는 내용");
	  //...
}

오렌지와 우의 이야기를 모두 들었다.

어느 의견이 더 끌리나요? 자바블 독자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