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pring-boot,  #logback,  #logger

로그 전략을 통해 메시지를 남기자

로그 전략을 통해 메시지를 남기자

웹이나 앱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로그를 남긴다.

그럼 로그는 왜 남길까? 보통 로그는 개발의 원활함을 위해, 에러 등을 확인하고 해결하기 위해, 보안의 의미로, 또는 마케팅 전략을 위해 남기기도 한다. 이런 장점들을 살려보기 위해 로그를 적용했던 이야기를 해 보려 한다.

로거 적용기

로그 전략 세우기

이번 우아한 테크코스에서 진행하는 웹 프로젝트에 로거를 적용해 보았다.

우선적으로 로거를 적용하기 전에 팀의 로그 전략을 세워야 한다.

로그 전략은 뭐지?

로그 전략은 쉽게 말하면 어떤 로그를 어떤 방식으로 남길지, 그리고 그 로그를 어떻게 얼마동안 관리할지 등의 전략이다.

오, 그러면 어떤 부분을 로그로 남기는 게 좋을까?

팀에서 서버단에서는 api 통신에 대한 로그, db 로그, 에러 로그를 남기기로 결정했다. 어플리케이션의 모든 상황을 로그로 남기면 로그 파일은 빠른 속도로 커질 것이고 디스크 용량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데이터가 변하고 저장되는 시점에 로그를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요청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나는 경우, api 통신에 대한 로그를 통해 에러의 원인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db 로그도 마찬가지이다. 에러 로그는 당연하다. 에러가 발생한 부분에 대한 기록이 있어야 그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로그 파일의 보관 주기, 파일의 최고 용량 등을 결정할 롤링 정책도 정했다. 팀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정해주면 좋을 것이다.

Logback 사용하기

로그를 남기기 위해 가장 편리한 System.out.println()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몇 줄 코드 추가하는 정도라 크게 신경쓰지 않을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많은 웹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System.out.println()은 I/O operation이기 때문에 synchronized가 붙어 있고, 어플리케이션은 print가 완전히 끝날 때 까지 대기한다. 이는 상당한 성능 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System.out.println()를 통한 로그는 개발시에만 사용되고 실 서비스 배포 후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실 서비스 이후에는 불필요한 코드가 되어버린다. 그런 이유로 로깅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다.

그 중, 자바 스프링 부트로 서버를 구현했기 때문에 로거로 logback 라이브러리를 사용했다. (스프링 부트는 기본적으로 logback 모듈을 제공)

로그백의 설정 파일은 src/main/resources/ 하단에 위치시킨다. 스프링 부트의 경우 logback-spring.xml을 이용한다. logback.xml을 사용하게 되면 스프링 부트 설정 전에 로그백 설정이 먼저 되어 로그 제어가 어려워질 수 있다.

또는 property의 logging.config = classpath:logback-${spring.profiles.active}.xml을 통해 각 프로파일별로 logback 설정파일을 관리한다. 덧붙여, application.yml 의 설정만으로도 logger, 로그레벨 설정이 가능하다.

로그백의 설정파일은 크게 appenderlogger, layout 으로 나눌 수 있다. appender를 통해 로그를 어떻게 남길지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고 logger를 통해 해당 로거가 사용될 패키지와 로그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로그 레벨은 TRACE - DEBUG - INFO - WARN - ERROR 순이며, DEBUG로 로그 레벨을 설정할 경우 ERROR 부터 DEBUG 레벨의 로그가 모두 기록된다.

<appender name="Error" class="ch.qos.logback.core.rolling.RollingFileAppender">
   ...  
    <!-- 로그 파일이 저장될 경로 -->
    <file>${LOG_PATH}/${ERR_LOG_FILE_NAME}.log</file>
    <encoder class="ch.qos.logback.classic.encoder.PatternLayoutEncoder">
        <!-- 로그 출력의 형식 -->
        <pattern>${LOG_PATTERN}</pattern>
    </encoder>
    <!-- 롤링 정책 설정 -->
    <rollingPolicy class="ch.qos.logback.core.rolling.TimeBasedRollingPolicy">
        <fileNamePattern>${LOG_PATH}/${ERR_LOG_FILE_NAME}.%d{yyyy-MM-dd}_%i.log</fileNamePattern>
        ...
        <!-- 로그 최대 저장 주기(일), 지나면 폐기된다. -->
        <maxHistory>30</maxHistory>
    </rollingPolicy>
</appender>

위 코드는 에러 로그만 따로 파일로 설정하도록 하는 코드이다. RollingFileAppender 설정을 함으로써 여러 파일을 돌며 로그를 남길 수 있도록 했다.

RollingFileAppender는 여러가지 어펜더중 하나이며, LogBack은 로그를 남기기 위해 다양한 Appender를 지원한다. 아래의 문서에서 다른 어펜더들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사항은 주석과 공식 문서를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db 로그를 남기는 부분도 위와 비슷하다.

<!-- root레벨 -->
<root level="WARN">
    <appender-ref ref="CONSOLE"/>
    <appender-ref ref="FILE"/>
    <appender-ref ref="Error"/>
</root>
<logger name="org.hibernate.SQL" level="DEBUG" additivity="false">
    <appender-ref ref="DB"/>
</logger>
...

<logger>를 통해 appender를 참조하고 name속성을 사용해 해당 패키지의 로그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위 코드를 보면 <appender> name 속성이 DB인 경우, 패키지는 “org.hibernate.SQL”로, 로그 레벨은 DEBUG 로 설정했다. <root>는 최상위 패키지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설정이다. logger name="" 과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로그백은 logback-core, logback-access, logback-class 세 가지 모듈로 나뉜다. logback-core가 나머지 두 모듈의 토대이며, 앞서 언급했던 기능들은 logback-class 모듈의 기본 기능이다.

logback-access 모듈을 사용하면 HTTP 접근 로그를 남길 수 있기 때문에 logback-access.xml 파일을 만들어 api 통신에 관한 로그 설정을 했다. 파일 설정은 비슷하지만 다른 이슈가 생겼다. 컨트롤러의 메소드가 호출될 때마다 로그를 남기려고 하니, 통신 응답이 완료되면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두 객체를 소멸시켜 값을 읽어오지 못한다는 문제였다. 모든 컨트롤러를 대상으로 로그를 기록해야 하므로 Filter와 LogInterceptor를 구현하고 응답과 요청값을 캐싱했다. (spring filter와 interceptor에 관한 작은 글)

//LogServletWrappingFilter class
@Override
protected void doFilterInternal(...)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ContentCachingRequestWrapper wrappingRequest = new ContentCachingRequestWrapper(request);
    ContentCachingResponseWrapper wrappingResponse = new ContentCachingResponseWrapper(response);
    ...
}

//LogInterceptor class
@Override
public void afterCompletion(
    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 throws Exception {
    ContentCachingRequestWrapper cachingRequest = (ContentCachingRequestWrapper)request;
    ContentCachingResponseWrapper cachingResponse = (ContentCachingResponseWrapper)response;
    ...
    log.warn("Params : {}", params);
    log.warn("RequestBody : {} / ResponseBody : {}",
            objectMapper.readTree(cachingRequest.getContentAsByteArray()),
            objectMapper.readTree(cachingResponse.getContentAsByteArray())
    );
}

간단히 설명하자면 filter를 통해 요청값과 응답값을 감싸주고 interceptor에서 로그를 남겼다.

이렇게 api 통신, db, 에러 로그를 남길 수 있게 되었다. 지금은 간단한 로그 전략과 logback 사용법에 대해서만 다루었지만 logback 말고도 log4j, log4j2 등 다양한 로거 라이브러리들이 있다.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로그를 사용해 보며 이점을 직접적으로 느껴보고, 앞으로도 더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참고 링크


logback 공식문서